arr = [1,1,3,3,0,1,2]
print(arr[-1:])
#[2] 리스트 출력
print([1])
#리스트 [1]이 출력된다.
print(arr[-1])
# 2 출력
#슬라이싱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된다.
print(arr[-1:-3])
# [] 리스트 출력
#슬라이싱을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하는 경우
print(arr[ : :-1])
#[2, 1, 0, 3, 1, 1,]
print(arr[:-4 :-1])
#[2, 1, 0]
[ : -1] 개념 정리
answer=['T', 'r', 'Y', ' ', 'H', 'e', 'L', 'l', 'O', ' ', 'W', 'o', 'R', 'l', 'D', ' ']
print(answer)
#['T', 'r', 'Y', ' ', 'H', 'e', 'L', 'l', 'O', ' ', 'W', 'o', 'R', 'l', 'D', ' ']
print(answer[:-1])
['T', 'r', 'Y', ' ', 'H', 'e', 'L', 'l', 'O', ' ', 'W', 'o', 'R', 'l', 'D']
▶ [ : -1] 처음부터 -1직전까지
'임시저장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= a+ n%3 vs a= n%3 +a (0) | 2022.12.16 |
---|---|
숫자문자열을 n진법으로 변경하기★★ (0) | 2022.12.16 |
파이썬 n/10 vs n//10 (0) | 2022.12.12 |
오늘의 교훈 (0) | 2022.12.08 |
위 아래 정렬★★ (0) | 2022.12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