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CASE 1
#재귀함수와 스텍
import sys
sys.stdin=open("input.txt", "r")
def DFS(x):
if x>0:
DFS(x-1)
print(x, end=' ')
if __name__== "__main__": #스크립트실행시 가장 먼저 실행
n =int(input())
DFS(n)
2. 출력결과 1 2 3
3. 출력결과 1 2 3 인 이유
4. 보충설명
재귀함수의 경우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를 말하는데, 재귀함수가 일단 호출되면, 재귀함수 아래에 있는 코드는 신경 안쓰고, 재귀함수 자신부터 처리한다. 그리고 호출했던 함수가 하나씩 종료되면서, 아래에 있던 코드를 처리한다.
최종적으로는 1 2 3을 출력하게 된다.
1. CASE 2
#재귀함수와 스텍
import sys
sys.stdin=open("input.txt", "r")
def DFS(x):
if x>0:
print(x, end=' ')
DFS(x-1)
if __name__== "__main__": #스크립트실행시 가장 먼저 실행
n =int(input())
DFS(n)
2. 출력결과 3 2 1
3. 출력결과 3 2 1 인 이유
4. 보충설명
재귀함수의 경우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를 말하는데, print함수가 재귀함수보다 윗줄에 있으므로 print함수가 먼저 실행되고, 그 후에 재귀함수가 자기자신을 호출한다.
최종적으로는 3 2 1을 출력하게 된다.
'파이썬 알고리즘 > 완전탐색과 DFS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바둑이 승차 - Cut Edge Tech (0) | 2022.11.07 |
---|---|
4.합이 같은 부분집합 (0) | 2022.11.06 |
3.부분집합 구하기(DFS) (0) | 2022.11.06 |
2. 이진탐색트리 순회 (0) | 2022.11.06 |
1.재귀함수를 이용한 이진수 출력 (0) | 2022.11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