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의 풀이
def solution(num, k):
try:
return str(num).index(str(k)) +1
except Exception:
return -1
▶ index() 메서드의 경우 해당 매개변수가 위치한 index의 값을 반환한다.
▶ 해당 매개변수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Exception이 발생하는데 이 부분을 except 구문으로 처리한다.
▶ index() 메서드는 문자열, 리스트에 사용할 수 있다.
다른 사람의 풀이
def solution(num, k):
return str(num).find(str(k)) + 1 if str(k) in str(num) else -1
▶ find() 메서드는 문자열에서 "해당 문자"가 처음으로 나온 위치(인덱스)를 반환한다.
'프로그래머스(파이썬) > LV.0(파이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숨어있는 숫자의 덧셈(2) - 정규식o vs 정규식x , join() (0) | 2022.11.21 |
---|---|
이진수 더하기 - bin() 함수 이용 (0) | 2022.11.21 |
n의 배수 고르기 - filter(), lambda (0) | 2022.11.21 |
A로 B만들기 - rotate() 사용x , 문자 갯수만 비교하기(결과론적 접근) (0) | 2022.11.21 |
문자열 계산하기★ - 리스트의 첫 요소를 저장 후 +=, -= 를 이용한다. (0) | 2022.1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