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 알고리즘

dict 정렬 - 키 중복x, value 중복o
dict = { 1:10, 3:25, 2:50, 6:36, 4:18} print(dict) list_key=sorted(dict.items(), key=lambda x : x[0]) #키를 이용한 정렬 list_value=sorted(dict.items(), key=lambda x : x[1]) #value를 이용한 정렬 print(list_key) print(list_value) 출력결과 반환형태가 리스트이며 리스트의 각 원소가 tuple형태임에 주의 한다. -x[0]을 붙여주는 경우 내림차순 정렬이 됨에 유의 한다. 첫 번째 인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먼저 정렬하고, 그 안에서 다음 두 번째 인자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게 하려면,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. list = [(1, 3), (0,..

리스트의 문자열(기호포함) 각각 쪼개기
list = [ "3 + 9 = -3", "3 - 5 = +5"] a=list[0].split() b=list[1].split() print(a) print(b) a, b 출력결과
파이썬 Counter함수
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import sys list = [1, 3, 2, 2, 3, 5, 2, 3, 9] Counter() : 문자열이나, list 의 요소를 카운팅하여 많은 순으로 딕셔너리형태로 리턴한다 countValue =Counter(list) print(countValue) #출력 결과: Counter({3: 3, 2: 2, 1: 1, 4: 1, 5: 1, 9: 1}) most_common() : 개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튜플 배열 리스트를 리턴한다 countValue1=Counter(list).most_common() print(countValue1) #출력결과: [(3, 3), (2, 2), (1, 1), (4, 1), (5, 1), (9, 1)] 리스트의..
튜플(tuple)을 요소로 가지고 있는 리스트 접근방법
#튜플(tuple)을 원소로 가지고 있는 리스트 접근방법 list=[(3, 4), (1, 1), (2, 1), (4, 1)] for x in list: print(x[0], end=' ') #출력결과: 3 1 2 4 print() for x in list: print(x[1], end=' ') #출력결과: 4 1 1 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