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풀이
def list_chunk(list, n):
return [list[i:i+n] for i in range(0, len(lst), n)]
▶ n 은 n개씩 쪼갬을 의미한다.
▶ 리스트 뿐만 아니라 문자열에도 적용가능하다.
▶ i가 n개씩 점프를 뛰어가되 i의 도약지점에서부터 i+n직전까지 슬라이싱 하겠다
보충
def solution(num_list, n):
answer = []
cnt = 0
temp = []
for num in num_list:
temp.append(num)
cnt += 1
if cnt == n:
answer.append(temp)
temp = []
cnt = 0
return answer
'파이썬 알고리즘 > 알고리즘 직빵 파이썬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f k == a or k == b: // if k ==a or b: (0) | 2022.11.17 |
---|---|
deque.rotate()★★ (0) | 2022.11.16 |
리스트 index() 함수 (0) | 2022.11.15 |
dict 정렬 - 키 중복x, value 중복o (0) | 2022.11.15 |
리스트의 문자열(기호포함) 각각 쪼개기 (0) | 2022.1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