① if k == a or k ==b:
② if k ==a or b:
※ ① 과 ②는 전혀 다른 식이다. (중요)
예시
def solution(my_string):
answer=''
for k in my_string:
if k == "a" or k== "e" or k == "i" or k =="o" or k == "u":
#if k == "a" or "e" or "i" or "o" or "u": 전혀 다른 코드임
continue
answer+=k
return answer
코드 4번째 줄의 경우는 ①에 해당한다.
코드 5번째 줄의 경우는 ②에 해당한다.
이 경우에는 if e: → if 문자열: 이 되어서 항상 참이 나오게 된다.
'파이썬 알고리즘 > 알고리즘 직빵 파이썬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d, pw 2개의 변수로 2차원 리스트에 접근 (0) | 2022.11.17 |
---|---|
연산자 축약★ (0) | 2022.11.17 |
deque.rotate()★★ (0) | 2022.11.16 |
1차원 리스트, 문자열 여러 개로 슬라이싱★★★ + 떡 썰기★ (0) | 2022.11.16 |
리스트 index() 함수 (0) | 2022.1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