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. 응급실
메디컬 병원 응급실에는 의사가 한 명밖에 없습니다.
응급실은 환자가 도착한 순서대로 진료를 합니다. 하지만 위험도가 높은 환자는 빨리 응급조
치를 의사가 해야 합니다.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응급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환자의
진료순서를 정합니다.
• 환자가 접수한 순서대로의 목록에서 제일 앞에 있는 환자목록을 꺼냅니다.
• 나머지 대기 목록에서 꺼낸 환자 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가 존재하면 대기목록 제일 뒤로
다시 넣습니다. 그렇지 않으면 진료를 받습니다.
즉 대기목록에 자기 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가 없을 때 자신이 진료를 받는 구조입니다.
현재 N명의 환자가 대기목록에 있습니다.
N명의 대기목록 순서의 환자 위험도가 주어지면, 대기목록상의 M번째 환자는 몇 번째로 진료
를 받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.
대기목록상의 M번째는 대기목록의 제일 처음 환자를 0번째로 간주하여 표현한 것입니다.
▣ 입력설명
첫 줄에 자연수 N(5<=N<=100)과 M(0<=M<N) 주어집니다.
두 번째 줄에 접수한 순서대로 환자의 위험도(50<=위험도<=100)가 주어집니다.
위험도는 값이 높을 수록 더 위험하다는 뜻입니다. 같은 값의 위험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.
▣ 출력설명
M번째 환자의 몇 번째로 진료받는지 출력하세요.
▣ 입력예제 1
5 2
60 50 70 80 90
▣ 출력예제 1
3
▣ 입력예제 2
6 0
60 60 90 60 60 60
▣ 출력예제 2
5
1. 문제풀이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sys.stdin=open("input.txt", "r")
N, M=map(int, input().split())
Q =[(pos, val) for pos, val in enumerate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]
Q = deque(Q)
cnt =0
while True:
cur=Q.popleft()
if any(cur[1]<x[1] for x in Q) :
Q.append(cur)
else:
cnt +=1
if M == cur[0]:
print(cnt)
break
2. 해설
else인 경우: 자기 자신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가 없으므로 본인은 진료를 받는다.
진료받을 때마다 cnt를 +1 올려준다.
3. 보충설명
Q = [ ( 0, 60) , (1, 50) .... ]
cur =Q.popleft()
cur[0] =0
cur[1] =60
'파이썬 알고리즘 > 스택, 큐, 해쉬, 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.단어 찾기(해쉬) (0) | 2022.11.05 |
---|---|
7. 교육과정 설계 (0) | 2022.11.05 |
5. 공주 구하기(큐) (0) | 2022.11.05 |
4. 후위식 연산 (0) | 2022.11.05 |
3. 후위 표기식 만들기 (1) | 2022.11.05 |